스트레스, 객관과 주관을 구분해야 합니다!

1. 주관적인 스트레스  

환자의 성장기의 개인적 경험에 의해 과잉 증폭된 스트레스로, 환자 본인만이 느끼는 스트레스이며 남들은 인식하지 못하거나 작게 받아들이는 스트레스이다.  
타인의 사소한 시선이나 자신과 상관 없는 대화 내용이 환자 본인에게는 엄청난 스트레스가 되는 경우를 예로 들 수 있으며,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가 살짝만 부딪혀도 골절상을 입는 경우와 같다. 


2. 객관적인 스트레스  

인생의 특정 시기에 집중적인 스트레스가 겹쳐서 발생한 것이다. 

예: 실직, 가정 구성원의 질병 및 사망, 재정 파탄 등의 현실적 요소에 동시에 노출된 경우  마치 심한 타격을 받아서 뼈가 골절된 것과 같다.  


보통 조현병의 발전은 아동기의 2번 경험이 1번 경험으로 확장되면서 시작된다.

더 보기  

멘탈 에너지의 소모와 생산

소모 

노동 생산에 쓰이는 멘탈 에너지 

자아의 자기 보호, 자기 방어에 쓰이는 에너지     


생산 

사랑, 배려 받을 때 생기는 에너지 

의미, 보람, 보상을 얻을 때 생기는 에너지 

창조, 예술 활동 시 생기는 에너지

더 보기  

정신병의 발생구조

1.  외부의 누적되는 사회적 대인관계의 스트레스   

2.  내부의 자아의 대응처리 방식의 문제점과 취약점   

3.  1과 2의 합작으로 인한 마음독(정신증상 발생의 최종적인의 직접적인 원인)의 과다생성   

4.  마음독 소화. 처리의 능력이. 제한되어 미처리된 잔류 마음독이 본격적인 정신증상을 일으킴(초기 조기 정신병)   

5.  마음독의 잔류량의 정도에 따라서 관계사고, 피해사고, 과대사고가 발생되며 이후 더 누적량이 많아지면 본격적인 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으로 진행되며 (망상이란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함에도 환자본인이 수용 수정하지 않거나 신념적으로 믿는 경우를 말함) 더욱더 강력하고 황당한 스토리 텔링으로 방어를 하여 대화가 되지 않는 상태가 됨   

6.  요약하면 불안 우울부터 시작하여 과도한 예민성 민감성을 거쳐서, 관계사고 피해사고 과대사고를 거쳐서, 본격적인 관계망상 피해망상 과대망상으로 진행됨 

7.  발병의 간접적인 원인들은 위의 1과 2이며 직접적인 원인은 '마음독'이다. 따라서 치료의 목표는 직접적 요인을 처리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간접적 요인들을 개선해야만 한다.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