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트레스의 발생 시 마음독의 소화가 제한되는 두 가지 상황

a 스트레스 양이 많은 경우  
객관적으로 매우 강한 스트레스에 노출되거나 예민, 소심한 성격 특성으로 인해 스트레스의 강도가 주관적으로 증대됨 

b 스트레스 소화 처리 용량이 적은 경우  
일반인이 통상적으로 겪는 정도나 그보다 좀 더 강한 정도의 스트레스에 노출되었는데 스트레스 처리 능력(충격, 피로 복원력)이 원래 작아서 마음독이 소화되지 못하고 낙숫물이 고이듯이 마음독이 누적되어 증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후 정신 염증 현상은 줄어드나 굳은 살(퇴행된 성격 문제, 사회생활 회피, 사회 부적응 등)이 조현병의 2차적인 장애와 후유증이 발생되어 제한적이고 자폐적 생활만 유지 


조현병의 발생 과정 

1. 소심, 예민, 소극적, 회피적 경향이 발생되는 단계
  스트레스가 적절하게 해소, 소화되지 못해 마음에 독(마음 독)이 쌓이고 마음 독이 염증이 되어서 가벼운 우울, 불안, 강박 증상을 만들기 시작한다. 자신감이 없어지고 무기력해지면서 점차 사람들을 피하기 시작하고 소극적이고 소심하고 위축된 성격을 가지게 되거나 이전의 이런 성향이 강화된다. 

2. 관계 사고가 발생하는 단계
 "남들이 나를 쳐다본다" "남들이 모여서 나를 흉본다" "모르는 사람들이 이상한 욕을 한다" 등의 관계 사고가 발생하는 단계이다. 망상의 시작 단계로서 이때 환자는 정신병적 반응을 보이기 시작한다.  

3. 피해망상의 단계
 "저들이 나에게 해를 끼치려고 한다" "위해를 가하려고 모의 중이다" 등 망상이 구체적으로 발전하는 단계이다. 

4. 과대망상
 "나는 슈퍼맨이다" "나는 예수이다" "나는 어떠한 환난과 고통에도 죽지 않는다" 등등 피해망상의 고통에서 벗어나기 위한 과대망상 증상이 나타나는 단계이다. 

5. 만성 조현병 상태
  망상이 계속 발생, 반복되다가 전반적으로 비현실적인 사고체계가 정착되며 만성 정신병 상태가 된다. 지속적인 지리멸렬한 사고와 퇴행된 소아적 행동이 습관화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