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상이 생기면 휴식하고 스트레스를 피한다 


2a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약물 치료와 상담 치료를 받는다 

2b 한의원에서 약을 지어 먹고 개인 심리 상담을 받는다 

2c 전문 심리 상담 센터에서 약 없이 심리 상담만 받는다 


3: 2의 결과 

3-1 30프로는 증상이 수 개월 내 치료되어 현실로 복귀한다(성공적인 케이스. 이 경우는  발병 전 지적 기능이 좋았거나 가족 지지 수준이 높거나 단기 스트레스성 발병인 경우이며 치료 효과가 좋다) 

3-2 30프로는 일시적으로 증상은 완화되나 수 개월 후 다시 현실 복귀 시 아토피 염증처럼 다시 증상이 재발해서 다시 현실로부터 퇴장하게 된 후 차일피일 시간만 보내다가 현실 부담이 없을 때는 겉으로는 멀쩡하나 방어 기제만 강화되어 자신의 기능 정신연령 등이 많이 후퇴한 상태로 집 생활만 하게 됨 
약만 먹고 자신의 성격, 가치관, 사회적 지능, 감성적 지능의 발전에 대해 병원도 가족도 누구도 가르쳐주지 않아서 노력을 할 수 없었던 대부분의 경우임 

3-3 나머지 30프로는 현실 복귀와는 관계없이 어떤 치료에도 수시로 증상이 아무 때나 발생하여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며, 증상이 심하게 계속되며 점차 악화되어 엉뚱한 소리, 심한 강박, 극심한 불안 공포 증상, 가족이나 남들에 대한 공격성이나 폭력성이 수시로 발생하여 치료는커녕 자해, 타해 위험으로 인해 의학적 관리를 해야 하는 경우를 말함 
서서히 자폐적 성격을 거쳐서 만성 조현병 환자로 귀결되는 안타까운 경우